[이슈큐브] 바이든 "20년 주둔 끝났다"…아프간 운명은?<br /><br /><br />미국이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철수와 일반인 대피를 완료했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이로써 20년간의 아프간전이 공식적으로 마무리됐는데요. 탈레반 측은 아프간은 완전한 독립을 이루게 됐다고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향후 아프간과 국제 정세 방향을 박현도 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연구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미군은 마지막 수송기가 카불 공항을 떠났다며 아프가니스탄 철군이 마무리됐다고 선언했습니다. 이로써 2001년 9·11 테러에서 촉발된 시작된 미국과 아프가니스탄의 전쟁이 20년 만에 종지부를 찍은 건데요.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올해 5월 1일까지 미군을 철수하는 합의를 탈레반과 작년 2월 맺었고, 지난 1월 취임한 바이든 대통령은 올 4월 미군 철수를 결정하면서 아프간전 종식 의지를 공식화했습니다. 이런 결정을 내린 배경은 뭔가요?<br /><br /> 미국의 전쟁 비용은 1조 달러에 달한다고 하는데요. 20년간의 아프간전이 남긴 것은 무엇입니까?<br /><br /> 미군 철수 이후에도 아프간 정부가 1년 반은 버틸 것으로 오판해 철수를 서두른 바이든 행정부의 결정은 오점을 남기게 됐다는 평가도 나오는데요. 미군 13명이 숨지는 대형 악재까지 터지면서 정치적인 책임론이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?<br /><br /> 20년 만에 정권을 다시 장악한 탈레반 측은 "아프간은 완전한 독립을 얻었다"며 미군 철수를 환영했습니다. AP통신은 카불에 폭죽이 울렸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는데요. 향후 탈레반 세력이 순탄하게 통치 세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탈레반은 정상 국가를 희망하며 새 정부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. 인권 보호, 개방적 정부 구성, 국제사회와 교류 희망 등 유화적 메시지도 쏟아냈지만, 회의적인 시각도 많은데요. 실제 언론 자유를 보장하겠다고 했지만, 탈레반이 총을 들고 방송국에 진입해 뉴스 진행자를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 공개됐습니다. 진행자는 무장한 탈레반들을 뒤에 두고 아슈라프 가니 전 아프간 대통령을 비판하는데요. 과연 탈레반이 공언한 대로 20년 전 집권 때와는 다를 거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탈레반의 재집권으로 국제 정세도 크게 흔들리는 모습입니다. 포스트 아프간전 정국, 중앙아시아 주도권 다툼이 벌어질 소지가 크다는 관측도 있는데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